헤드폰 출력 단자 추가 모델의 가능성..

2025.02.01·by 이희철
92

안녕하세요? 

 

오래전 부터 계속 방문만 하다가 방금 가입을 하고 질문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선생님의 앰프는 작품이라 칭송될 만큼 훌륭한 제품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계속 구매를 못하게 된 이유가 헤드폰 출력 단자의 부재였습니다.

 

아무래도 아파트라는 환경과 거실이 아닌 방에서 음악을 듣는 한계로 인해

자주 헤드폰으로 음악을 들어야 하는 상황이 존재 합니다.

 

스피커 출력 단자에 임피던스를 맞추어 헤드폰으로 들어볼까 하다가 

자칫 앰프 헤드폰 모두에게 손상이 발생하고 더구나 제대로 된 소리를 들을 수 있을지도

의문이라 시도만 하다가 말았습니다.

 

잘 모르지만 선생님의 여러 앰프들의 토폴로지나 만듬새를 보면 정말 구매하고 싶은

충동에 여기가 종착역이 아닐까 하는 생각까지 듭니다.

 

향후 제품에는 전체는 아니더라도 일부 인티나 파워 앰프 제품에 헤드폰 출력단자를

추가해 주실 의향은 없으신지요?

 

 

로그인 후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Comments3

  • 서병익 2025.02.04 10:00

    예...^^

    선생님  

    반도체 앰프에 헤드폰을 추가하는 일은 정말 쉽습니다.

    헤드폰 단자 하나 추가하는 것으로 끝나는 일이기에 그렇습니다.

     

    그런데 진공관 앰프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2012년, 진공관으로 구성된 헤드폰앰프와 프리앰프 겸용 모델을 출시한 적이 있었고 음질도 좋았습니다.

    그러나 한 대도 판매하지 못하지 못하고 단종한 이후 다른 일정에 밀려 다시는 생각하지 않게 되었지만, 그때 판매부진은 제대로 광고하지 않은 탓도 분명 있었을 것입니다.

     

    샘플기로 제작하였던 헤드폰/ 프리앰프 기기는 전면판을 프리앰프로 교체하면서 흔적도 남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때 부여했던 모델명이 지금도 제작 중인 벨루스입니다. 

     

    지금도 수요만 충분하다면 검토해 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ECC99 진공관으로 구동하는 헤드폰앰프 회로를 오래전에 설계해 놓은 적이 있기에 아주 관심이 없었던 것도 아닙니다.   

     

    고맙습니다.

  • 이희철 2025.02.04 11:19

    선생님, 답변 감사합니다.

    말씀대로 저항하나 붙여서 될 간단한 일은 아니라고 알고 있습니다.

     

    저는 헤드폰/프리앰프 보다는 인티앰프나 파워앰프에서 추가가 되면 좋겠습니다.

    공제도 좋지만 언제한번 수요 조사를 해봐주시면 어떨까 합니다. 

     

    감사합니다.

     

  • 서병익 2025.02.04 16:38

    예...^^

    선생님 고맙습니다.

결제안내